본문 바로가기
아두이노/무선 조명 스위치

#4 제작 - 아두이노 Nano

by songbum 2023. 5. 17.

이제 실제로 사용할 제품을 제작할 차례다.

지금까지 사용해온 아두이노 UNO 보드나 적외선 리모컨 센서는 구입한 교재의 실습키트에 포함된 거라서 이걸 제품에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인터넷 쇼핑몰에서 추가로 구입해야 했다. 

 

아두이노 UNO 보드는 대략 손바닥만한 크기여서 내가 만들 제품에 비해 너무 크다.  좀 더 작은 보드가 있나 찾아보니 아두이노 Nano 가 손가락 마디 2개 정도 되는 크기에 사용법이나 성능이 UNO 와 거의 같다고 해서 구입했다.

연결하는 USB 케이블은 B-타입 mini 이다. 

 

기존에 테스트한 회로에서 UNO 보드를 Nano 보드로 교체했는데, 케이블을 연결하는 핀이 UNO 의 '암' 이 아니라 '수' 여서 케이블도 그에 맞게 바꿔야 했다.

아두이노 IDE 에서 보드 타입을 아두이노 Nano 로 변경해준 후 프로그램을 업로딩 했다. 

보드가 작아서 서보모터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건 아닌가 걱정했는데,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크기가 문제였다.  구입한 Nano 보드를 보면 모든 '수' 핀들이 보드에 납땜으로 고정돼 있다.  나는 그 중 4개만 사용할 거라서 다른 핀들은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이 핀 자체도 긴데다가, 여기다 '암' 케이블까지 연결하면 길이가 너무 길어져 내가 제작할 제품의 부피가 쓸데없이 커질거 같았다. 

 

좀 더 찾아보니 Nano 보드 중에서 핀들이 납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 제품이 있어서 이걸 추가로 구입했다.  핀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케이블을 보드에 납땜해서 연결할 생각이다.

테스트 회로의 Nano 보드만 교체한 후, 아두이노 IDE 에서 프로그램을 업로딩 했다. 

 

그런데, 업로딩이 실패하고, 다음과 같은 오류메세지가 나온다.

avrdude: stk500_recv(): programmer is not responding avrdude: stk500_getsync() attempt 1 of 10: not in sync: resp=0x52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Processor 를 ATmega328P (Old Bootloader) 로 변경해야 한다고 한다.  

이후 업로딩에 성공했고, 서보모터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두 Nano 보드는 외관상 별 차이는 없어 보이는데, 사용된 칩셋이나 펌웨어의 버전이 달랐던게 아닌가 싶다. 

 

 

적외선 리모컨 부품도 별도로 구입했다.  사진 우하단의 LED 전구처럼 생긴 건 아마도 적외선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거 같은데, 이번 작업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